명절 스트레스, 명절 증후군의 원인
오랜만에 가족들과 만나는 것도 잠시, 명절 연휴가 끝나면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명절증후군입니다. 명절증후군은 명절 기간 받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로 생기는 증상으로 실질적으로 어디가 부러지거나 깨져서 아프거나 하는 병은 아닌데 장기간 귀성길‧귀경길, 가사노동 등의 신체적 피로와 가족들과의 마찰, 차별로 인한 정신적 피로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명절 증후군으로 찾아오는 질병
명절 전후로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두통, 요통, 근육통과 같은 통증이나 어지러움증, 식욕저하, 소화장애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또한 과도한 가사로 손목터널증후군, 관절통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장시간 운전하다 몸이 탈이 나고 산이나 들로 벌초를 하러 가면 온갖 사건과 사고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지친 몸과 마음은 가족들도 힘들게 할 수 있습니다.
북적이던 명절분위기가 끝나면 상실감이나 공허함이 밀려와 무기력감이나 우울증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명절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즐겁게 보내려면
1. 명절이면 주차장이 돼 버리는 고속도로. 그 안에 갇힌 운전자와 동승자들은 고향을 찾는 설렘과 동시에 육체적 고통이 찾아옵니다. 극심한 교통체증을 버틴 운전자의 허리에 무리가 오고, 긴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는 대중교통 이용자도 마찬가지인데요. 이와 함께 명절 전부터 끊이지 않는 가사노동에 어깨와 손목에 오는 통증은 명절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이니까요. 중간중간 자세를 바꿔주고, 한 시간마다 스트레칭으로 손목과 어깨를 풀어주면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여러 사람들이 모이다 보면 이말 저말 말들이 자연스럽게 나오게 되는데요. 명절 잔소리에 이제는 스트레스받지 마세요. 통계청 통계로 나온 명절에 가장 많이 하는 질문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이 나와있어 알려드릴게요
* 졸업은 언제 할 생각이니? 취업은 준비 중이고 - 대학 졸업기간은 평균 4년 2.8개월이 걸린대요. 졸업 후 첫 취업까지는 10.8개월이 걸린다고 합니다. 재촉 대신에 따뜻한 응원을 해주시면 어떨까요.
* 회사에서 연봉은 얼마나 받니?ㅇㅇ이는 대기업 다닌다던데-대한민국 임금근로자 중 400만 원 이상 월급 받는 사람은 16.8%래요. 좋은 곳 아시면 소개해주세요~
* 인물이 살려면 살 좀 빼야겠다.- 대한민국 국민 평일 여가시간은 3.3시간이라고 합니다. 퇴근하고 집 가서 밥 먹고 씻고 유튜브 보면 운동할 시간이 많이 부족해요. 제 여가시간을 늘려주시면, 열심히 운동할게요~
* 결혼은 언제 하려고?- 초혼 연령은 계속 상승하고 있어요. 10년 전이랑 비교하면 남자는 1.8세, 여자는 2.1세 증가했어요. 요즘엔 결혼을 서두르지 않아서 저도 유행에 따르려고 합니다.
* 이제 아기 가질 때 되지 않았니? 초·중·고등학생 사교육비가 1인당 월평균 39.9만 원이 필요하다고 해요. 금전적으로 준비가 덜 돼서 조금 더 있다가 갈게요. 아기가 태어나게 되면 용돈 많이 주실 거죠?
외에도 대화 도중 친척들 간의 위계질서로 또 어른들의 잔소리를 듣게 돼서 상처를 받기도 하는데요, 혹시라도 다툼이나 트러블이 있다면 이런 내용을 가족들과 차분히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스트레스받지 않는 현명한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3. 명절증후군 극복을 위해선 가족간의 대화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명절증후군은 가족 간의 갈등에서 오는 정신적인 요인이 크기 때문에 가족들과 대화를 통해 서로 돕고 일을 분담하며, 화목한 분위기로 명절을 준비해야 스트레스를 덜 받습니다.
4.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도 필수다. 명절증후군의 대표적 증상이 관절통인데, 연휴에는 장시간 운전하거나 하루종일 쭈그려 앉은 채로 일하기 때문에 허리, 손목 등 관절이 아프기 쉽다. 때문에 경직된 관절과 근육을 풀어줘야 한다. 명절이 지나서까지 통증이 계속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또 규칙적인 생활과 휴식, 수면으로 신체 피로를 줄여야 합니다.
명절증후군 자가진단법 |
1. 밤에 잠을 잘 못자고, 자고 나도 개운하지 않다 2. 예민하고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난다 3. 기분이 자꾸 가라앉고 우울하다 4.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 된다 5. 숨찬 기운이 올라오거나 숨이 차다 6. 화가 나면 얼굴에 열이 오르거나 온 몸에 열이 나면서 발끝까지 뜨겁고 입이 마른다 7. 가슴이 두근거리고 벌렁거린다 8. 만사가 귀찮고 의욕이 없다 9. 어깨, 허리, 손목 등 근육통을 호소한다 10. 목이나 명치 끝에 뭔가가 꽉 차있거나 걸려 있는 것 같다 *5개 이상" 충족하면 명절증후근을 의심해보세요. |
요점: 명절증후군 극복을 위해선가족간의 대화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명절증후군은 가족 간의 갈등에서 오는 정신적인 요인이 크기 때문에 가족들과의 대화를 통해 서로 돕고 일을 분담하며, 화목한 분위기로 명절을 준비하고 끝내야 명절스트레스를 덜 받을 거 같습니다.
'건강 지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형 간염과 B형 간염 그리고 C형 간염은 어떻게 다를까 (3) | 2023.10.31 |
---|---|
혹시 나도 영츠하이머 (2) | 2023.10.15 |
A형 독감 B형 독감의 차이점이 뭐지 (2) | 2023.10.14 |
폐렴 예방접종하고 백신 13가 23가 차이 확인하세요 (2) | 2023.10.02 |
면역력 떨어질때 조심. 대상포진에 대해 알아봐요 (4)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