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중개수수료(복비) 적정선은 얼마

by 머니뭐니클래스 2023. 9. 3.

부동산은 매매든 전월세든 계약을 하게 되면 해당 거래금액 외에 부대비용으로 붙는 것들이 크다는 생각이 항상 하게 됩니다. 집을 계약하고 나면 내야 하는 부동산  중개 수수료(일명 복비)는 매매인지 임차( 전세, 월세) 인지에 따라 얼마를 내야 할지 거래금액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거래금액에 상환요율을 곱하면 부동산 중개 수수료얼마를 내야 하는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복비

복덕방에 주는 비용의 줄임말로 부동산 중개업소에 지불하는 중개수수료를 의미합니다. 거래가 성사되면 그에 대한 수고와 감사의 의미로 중개업자인 중개소 사장님께 드리는 돈인데요. 이를 산정하는 법은 정해진 기준에 따릅니다.

부동산 복비 계산하는 방법

부동산의 유형, 거래의 유형(매매 혹은 전월세등) 그리고 거래금액에 따라 모두 다르게 정해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중개보수요율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출처- 한국공인중계사협회

먼저주택에 대한 보수 효율입니다. 기본적으로 중계보수는 한도금액 내에서 거래금액에 해당 지역상한요율르을 곱한 값으로 신청을 합니다. 여기서 거래금액은 아래와 같이 요율로 달라집니다.

● 매매= 매매가격

● 전세= 보증금

● 월세=보증금+( 월세 x100)

* 단, 월세의 경우 이와 같이 게산한 금액이 5천만 원 미만일시보증금+월세[x70으로 게산

 

전월세 계약을 하시는 분들의 거래금액은 1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에 속하는 분들이 대다수일 것 같은데요. 이경우 0.3%의 요율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2억 원의 전세계약을 한다면 상한 요율이 0.3%로 적용되므로 복비가 60만 원이 되는 겁니다.

매매거래에서는 금액이 15억 원 이상인 경우 상한 요율이 0.7%고 가장 높습니다.

다음은 오피스텔입니다. 오피스텔은 주택과는 달리 상한 요율이 임대차의 경우 0.4%입니다. 다만 전용면적 85㎡초과하는 경우 중개사와 합의하여 결정을 합니다.

이외에 토지나 상가등이 해당되는데요. 거래금액산정방식은 주책과 동일하지만, 상한 요율에 따라 결정을 합니다.

▣ 복비도 흥정해서 깎을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네, 깎을 수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보듯 요율은 고정요율이 어린 상한 요율입니다. 즉, 최대로 이 정도 금액을 받을 수 있다 그 거지 반드시 이금액을 다 지불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한 금액 내에서 중개자와 협의를 해서 일정 수준 깎을 수 있고 반대로 계약을 본인에게 유리하게 해야 하는 경우나 본인에게 유리하게 되도록 중개사가 많이 도와준 경우 등을 고려해 그 대가로 지불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반드시 산정된 금액 그대로 다 줘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상황에 따라 협상을 해서도 구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복비계산기 사용법 알려드릴게요

위에서 알려드리긴 했지만, 복잡해서 모르겠어하시면, 인터넷 검색창에 '부동산중개보수계산기'라고 치시면 바로 해당기능이 제공되는 데요. 간편하게 기입해서 금방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또는 부동산 계산기라고 치시고 들어가시면 이곳에서는 부동산 중개수수료뿐 아니라 각종 부동산취득 시 들어가는 취/등록세 및 양도세, 증여세등 다양한 것까지 계산이 가능해 예산을 잡고 계획을 짜시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런 이미지가 나오면 여기서 매물종류와 거래지역종류 금액 그리고 마지막중개보수요율까지 입력하실 후 게산하 기를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산정이 되어 나옵니다.

예시로 서울에서 아파트를 3억 원 보증금으로 전세게약을 하는 경우 복비를 계산기로 산정해 보겠습니다.

전세 임대차체크하시고 보증금에 3억 원을 가입 그리고 해당되는 보수율을 0.3% 입력을 합니다. 그러면 최대 90만 원의 보수를 지불해야 한다는 금액이 나옵니다.

월세복비계산기 사용하는 법도 알아보면,

앞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거래금액은 보증금 + (월세 x100)으로 산정. 보증금과 월세모두 입력을 합니다.

 

다음에, 전세나 월세 복비산정 시 만약 협의 보수율을 모르겠는 경우 그냥 비워두시고 계산하시면 알아서 해당되는 상한 요율이 적요가 되어 계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35만 원 입력을 하고 보수율을 공란으로 계산을 하면 자동으로 0.5%가 반영된 계산으로 나옵니다. 위 올려드린 중개보수요율표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요점: 부동산 복비의 의미와 복비계산하는 법까지 알려드렸는데요, 혹 거래를 앞두고 계신다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